매년 헷갈리는 세금 정책, 올해는 뭐가 달라졌을까?
✅ 1. 근로소득세 공제 기준 변경
2025년부터 근로소득세 공제 항목 중 일부가 조정됩니다.
특히 근로소득공제 상한선이 조정되어, 연봉이 일정 수준 이상인 근로자의 실효세율이 소폭 증가할 수 있어요.
- 변경 전: 연 1,200만원까지 70% 공제
- 변경 후: 연 1,200만원까지 65% 공제로 하향 조정
👉 고소득자일수록 공제 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실수령액에 영향이 있습니다.
✅ 2. 4대 보험 요율 인상
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 요율이 소폭 인상되었습니다.
- 건강보험: 7.09% → 7.15%
- 국민연금: 9.0% → 9.2%
→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고정비가 소폭 늘어났기 때문에,
연봉 계산 시 실수령액 확인은 필수입니다!
✅ 3. 프리랜서/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간소화
올해부터는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어,
국세청 홈택스에서 미리 채워주는 ‘자동 계산형 신고서’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.
- 예상 세액 확인이 더 쉬워지고
- 3년간의 신고 내역을 기반으로 납부 전략 추천도 제공됩니다.
👉 세무 대행 없이도 신고할 수 있도록 환경이 좋아졌어요.
✅ 4.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 완화
이자·배당 등 금융소득이 연 2,000만원을 넘는 경우 종합과세 대상인데요,
2025년부터는 1,800만원 초과부터 적용됩니다.
- 주식, 채권, 예적금 등의 이자 수익이 있는 분이라면
- 꼭 확인해야 할 항목입니다!
✅ 5.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확대
이제 연매출 1억원 이상인 개인사업자도
전자세금계산서 의무 발급 대상이 됩니다.
기존엔 3억원 이상이었지만, 점차 확대되어 프리랜서, 소상공인에게 직접 영향을 줍니다.
🔍 TIP: 실수령액이 궁금하다면?
📌 “올해는 고소득자의 실효세율은 ↑, 프리랜서의 세무 행정은 ↓,
4대 보험은 ↑, 금융소득세 기준은 엄격해졌어요!”
'모르면 손해보는 정책 꿀팁🍯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💸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‘연 1,000만 원+' 현금 복지 혜택_1탄 (0) | 2025.07.16 |
---|---|
고용보험 없이 받는 출산급여 150만 원! 꼭 신청하세요 (0) | 2025.07.14 |
✈️ 작년에 여행 갔던 사람이라면? 1분 만에 환급받기 (2) | 2025.07.12 |
🧧 2025 민생회복지원금 A to Z! 놓치면 손해인 꿀혜택 정리 (4) | 2025.07.12 |
💰 2025년 상반기, 꼭 챙겨야 할 정부 지원금 정책 TOP 3 (4) | 2025.07.10 |